전기/2. 전력 공학

2. 전력 공학 > 6. 안정도 및 고장 계산 > 1. 안정도

kkedory 2024. 2. 21. 23:09
728x90

2. 전력 공학 > 6. 안정도 및 고장 계산 > 1. 안정도

 

 

1. 안정도의 정의

 

전력 계통의 어떠한 운전 조건하에서도 아무 이상 없이 부하에 전력을 계속 공급하여 계통 운전에 아무 지장이 ㅓㅄ는 정도를 말한다.

 

 

2. 안정도의 종류

 

1) 정태 안정도: 평상시 아무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만한 부하 변화 시의 안정도

 

2) 과도 안정도: 계통에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급격한 부하 변화가 발생했을 때의 안정도

 

3) 동태 안정도: 최신의 발전기에 자동 전압 조정 장치 AVR과 전기식 고성능 조속기를 부착하여 발전기 성능을 향상시킨 안정도

 

 

3. 전력 계통의 안정도 산출식

 

P = ( Vs Vr / X ) sin θ [MW]

 

P: 계통의 공급 전력 [MW]

 

Vs: 송전단 전압 [kV]

 

Vr: 수전단 전압 [kV]

 

X: 계통의 송수전단 간의 전달 리액턴스 [ Ω ]

 

θ: 송수ㅅ전단 간의 위상차 각 [도]

 

 

4. 안정도 향상 대책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위 안정도 식에서 전압 E를 크게하거나 발전단과 부하간의 위상차 각을 증가시키거나 계통의 전달 리액턴스 X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1) 전력 계통의 승압

2) 속응 여자 방식의 채용

3) 계통 연계

4) 발전기가 변압기의 리액턴스가 작은 값 채용

5) 직렬 콘덴서 설치

6) 선로에 복도체 방식 채용

7) 보호 계전기 및 차단기의 고속도화 및 고속도 재패로 채용

8) 단락비가 큰 발전기 사용

9) 계통의 접지 방식을 고저항 접지 및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으로 채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