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력 공학 > 7. 전력 계통 이상 전압 > 4. 개폐기
2. 전력 공학 > 7. 전력 계통 이상 전압 > 4. 개폐기
1. 차단기 (CB)
1) 차단기는 부하 전류는 물론 고장 시 발생하는 대전류를 빠르게 차단하여 고장 구간을 신속히 분리하는 개폐기이다.
2) 소호 원리에 따른 차단기 종류
종류 | 소호 원리 |
유입 차단기 OCB | 소호실에서 아크의 열에 의한 절연유 분해에 따른 가스 소호력을 이용 |
공기 차단기 ABB | 압축 공기의 강한 소호력 이용 |
진공 차단기 VCB | 진공 상태에서의 아크의 급속한 확산 효과를 이용하여 소호 |
자기 차단기 MBB | 자기 회로에서의 자기력에 의해 아크를 끌어당겨 소호 |
가스 차단기 GCB | 절연 특성이 매우 뛰어난 SF6 가스의 강력한 소호 작용 이용 |
3) 차단기의 정격 차단 용량
Ps = √3 V Is [kVA]
V: 정격 전압 [kV] = 공칭전압 * 1.2 / 1.1
Is: 정격 차단 전류 [A]
4) 차단기의 차단 시간: 정격 차단 시간 = 개극 시간과 아크 소호 시간을 합친 시간이다. (보통 3~8 사이클)
5) 차단기의 정격 투입 전류: 차단기 투입 전류의 최초 주파수의 최대값으로 표시되며 크기는 정격 차단 전류 (실효값)의 2.5배를 표준으로 한다
6) 차단기의 표준 동작 책무
-일반용 (갑호): O 1분 CO 3분 CO-일반용 (을호): CO 15초 CO-고속도 재투입용 O t 임의의 시간 CO 1분 CO
7) 차단기 트립 방식
-DC 전압 방식-CTD 방식 (콘덴서 트립 방식)-CT 2차 전류 트립 방식
2. 단로기 (DS)
1) 단로기는 선로로 부터 기기를 분리, 구분, 변경할 때 사용되는 개폐 장치이다.
2) 단로기는 차단기와 달리 내부에 소호 장치가 없으므로 고장 전류나 부하 전류를 차단할 수 없으며 무부하 상태에서만 회를 개폐할 수 있다.
3) 차단기와 단로기 조작 순서 (인터록장치)
-투입 시 : 단로기 DS 투입 -> 차단기 CB 투입-차단 시 : 차단기 CB 개방 -> 단로기 DS 개방
3. 전력 퓨즈 (PF)
1) 전력 퓨즈는 주로 단락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보호 장치이다.
2) 전력 퓨즈의 역할
-부하 전류는 안전하게 통전시킨다.
-이상 전류는 즉시 차단시킨다.
3) 전력 퓨즈의 장단점
장점 | 단점 |
소형으로 큰 차단 용량을 갖는다 | 재투입이 불가능 (최대 단점) |
고속도 차단 | 과전류에 용단되기 쉽고 결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
현저한 한류 특성 | 한류형 퓨즈는 용단되어도 차단되지 않는 범위가 있다. |
한류형은 차단 시 무소음 무방출이다 |
4) 전류 퓨즈 선정 시 고려 사항
-과부하 전류에 동작하지 않을 것
-변압기 여자 돌입 전류에 동작하지 않을 것
-전동기 기동 전류에 동작하지 않을 것
-타 기기와 보호 협조를 가질 것
5) 퓨즈의 특성
-용단 특성
-단시간 허용 특성
-전차단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