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력 공학 > 5.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 장해>3. 유도 장해
1. 유도 장해의 의미와 종류
1) 의미: 전력선에서 발생하는 전계 및 자속이 근처에 가설된 통신 선로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2) 정전 유도 장해: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정전 용량 (C)이 주 원인이다.
3) 전자 유도 장해: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인덕턴스 (M)가 주 원인이다.
2. 정전 유도 장해
1) 송전선의 영상 전압과 통신선의 상호 정전 용량의 불평형에 의해 통신선에 유도 되는 전압이다.
2) 정전 유도 장해가 발생하면 영상 전압 V0이 통신선에 유도된다.
3) 정전 유도 전압의 크기
Es = √ ( Ca (Ca - Cb) + Cb (Cb - Cc) + Cc (Cc - Ca) ) / ( Ca + Cb + Cc + Cs) * V / √ 3
V: 선간 전압
V = √ 3 E
4) 정전 유도 장해 경감 대책 : 송전 선로를 연가하여 선로 정수를 형형화시킨다.
3. 전자 유도 장해
1) 전력선과 통신선의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유도되는 현상이다.
2) 지락 고장 시
Em = - j w M l ( Ia + Ib + Ic) = - j w M l * 3 Ia [V]
Ia = 영상 전류
3) 전자 유도 장해는 지락 사고 시 지락 전류 (Ig = 3 I0)에 발생하는 유도 장해 현상이다.
영상 전류 I0 를 유기
4) 전자 유도 장해 저감 대책
-전력선의 지중 선로화-통신선과의 병행 길이 단축-차폐선 설치 (Shielding wire)-통신선 도중에 절연 변압기 설치-통신선과의 교차는 직각으로 실시-통신 선로에 고성능 피뢰기 설치 (LA)-고장 회선의 신속한 차단 (고속도 차단)-중성점 접지 저항을 크게 하거나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 채택
'전기 > 2. 전력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력 공학 > 6. 안정도 및 고장 계산 > 2. 3상 단락 고장 계산 (평형 고장) (1) | 2024.02.24 |
---|---|
2. 전력 공학 > 6. 안정도 및 고장 계산 > 1. 안정도 (0) | 2024.02.21 |
2. 전력 공학 > 5.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 장해>2. 중성점 잔류 전압 (0) | 2024.02.19 |
2. 전력 공학 > 5.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 장해>1. 중성점 접지 방식 (0) | 2024.02.17 |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3. 코로나 (0)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