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1. 전기 기기

1. 전기 기기 > 2. 직류 전동기 > 3. 직류 전동기의 운전

kkedory 2024. 1. 8. 21:46
반응형

1. 전기 기기 > 2. 직류 전동기 > 3. 직류 전동기의 운전

 

1. 직류 전동기의 기동법

 

1) 기동 저항기 (SR) : 최대 위치에 두어 기동 전류를 줄인다.

2) 계자 저항기 (FR) : 최소(0) 위치에 두어 계자 전류를 크게 하여 기동 토크를 보상한다. 

 

 

2.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1) 직류 전동기의 속도 (회전수)

 

n = k * ( V - Ia Ra ) / Φ  [rps]

 

2) 전압 제어법

 

-전동기의 외부 단자에서 공급 전압을 조절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효율이 좋고 광범위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워드-레오너드 방식은 정부하 시 사용한다. (광범위한 속도 제어 가능)

-일그너 방식은 부하 변도이 심할 경우 사용한다. (플라이 휠 설치)

-직병렬 제어법은 직권 전동기에만 사용한다.

 

3) 저항 제어법

 

-전기자 회로에 삽입한 기동 저항으로 속도 제아하는 방업

-손실이 커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

 

4) 계자 제어법

 

-계자 저항을 조절하여 계자 자속을 변화시켜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전력 손실이 적고 간단하지만 속도 제어 범위가 적다.

출력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정출력 제어라고도 한다. 

 

 

3. 직류 전동기의 제동법

 

1) 발전 제동

-전동기 회전시 자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입력 전원을 끊고 전열 부하를 연결하면 전동기가 발전기로 작동한다.

-이 전력을 전열 부하에서 열로 소비하며 제동하는 방법이다.

 

2) 회생 제동

-전동기 회전 시 입력 전원을 끊고 자속을 강하게 하면 역기전력이 전원 전압보다 높아져서 전류가 역류하게 된다.

-이 전류를 가까운 부하의 전원으로 사용하면서 제동하는 방법이다.

-주로 내리막길에서 전동차의 제동이 회생 제동에 속한다.

 

3) 역상 제동 (플러깅)

-전동기 회전 시 계자 또는 전기자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키거나 전원 3선 중 2선의 접속을 바꾸어 역방향의 토크를 발생시켜 제동한다.

-주로 전동기를 급제동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

 

4) 직류 전동기의 종류별 특성

 

-속도 변화 특성이 큰 순서: 직권 -> 가동복권 -> 분권 -> 차동 복권

-토크 변화 특성이 큰 순서: 직권 -> 가동복권 -> 분권 -> 차동 복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