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기 기기 > 3. 변압기 > 7. 특수 변압기
1. 3상 입력에서 2상 출력을 내는 결선법
1) 우드브리지 결선
2) 메이어 결선
3) 스코드 결선 (T 결선): 2상 서보 모터 구동용으로 사용
4) 스코트 결선의 변압기
aT = ( √ 3 / 2 ) * a (즉, 일반 보통 변압기의 권수비 a의 √ 3 / 2 배)
2. 3상 입력에서 6상 출력을 내는 결선법
1) 포크 결선: 수은 정류기에 주로 사용2) 환상 결선3) 대각 결선4) 2중 Δ 결선5) 2중 성형 결선
3. 단권 변압기 (승압기)
1) 2권선 변압기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공통으로 연결한 변압기이다.
2) 동량이 적게 소요되어 변압기가 소형, 경량이 된다.
3)동량이 적어 손실이 줄어들게 되어 효율이 좋아진다.
4) 누설 임피던스가 작고 여자 임피던스가 크다.
5) 한쪽 회로의 단락 사고 시 다른 쪽 회로에 미치는 사고 영향이 크다.
6) 단상 3선식에서는 전압 불평형 방지용 밸런서로 많이 사용된다.
7) 단권 변압기의 3상 결선별 자기 용량과 부하 용량의 비
a. Y 결선
자기용량/부하용량 = (Vh - Vl ) / Vh
Vh: 고압측 전압 [V], Vl: 저압측 전압 [V]
b. Δ 결선
자기용량/부하용량 = (Vh^2 - Vl^2 ) / ( √ 3 Vh Vl)
c. V 결선
자기용량/부하용량 = 2 (Vh - Vl ) / ( √ 3 Vh)
4. 용접용 변압기
1) 수하 특성이 있어야 한다: 1차 측에 일정 전압을 가하고 2차 측 부하 전류가 증가하면 누설 리액턴스에 의한 전압 강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특성
2) 누설 리액턴스가 크다.
5. 계기용 변류기 (CT)
1) 안전하게 측정기기 및 보호 계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1차 측의 대전류를 2차측의 소전류로 바꾸는 소형 변압기 (2차측 전류: I2 = 5 [A]
2) 주의점: 2차 회로의 절연 보호를 위해 CT 점검시 2차측을 반드시 단락시킨다.
3) CT 극성 및 1차 전류 계산기
a. 가극성 결합: I1 = a I2 [A]
b. 감극성 결합: I1 = a I2 * 1 / √ 3 [A] (단, a는 CT의 권수비)
'전기 > 1. 전기 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전기 기기 > 4. 변압기 > 9. 변압기 보호 (1) | 2024.01.23 |
---|---|
1. 전기 기기 > 4. 변압기 > 8. 변압기 시험 (1) | 2024.01.22 |
1. 전기 기기 > 4. 변압기 > 6. 3상 변압기의 결선 (0) | 2024.01.20 |
1. 전기 기기 > 4. 변압기 > 5. 변압기의 극성 (0) | 2024.01.19 |
1. 전기 기기 > 4. 변압기 > 4. 변압기의 병렬 운전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