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력 공학 > 1. 가공 전선로 > 4. 송전 선로의 설치
1. 전선의 이도 (Dip)
1) 전선의 이도 및 전선의 실제 길이
a. 이도: 전선이 최고 높은 지점에서 부터 밑으로 내려온 길이를 말한다.
b. 이도의 대소에 따른 특징
-이도가 클 때: 지지물 높이가 증가한다. 전선의 진동이 커진다.
-이도가 작을 때: 전선 장력이 증가한다. 단선 사고 위험이 있다.
전선의 이도 D = W S^2 / s T (안전율 감안 시 D = (W S^2 / s T ) * k )
전선의 실제 길이: L = S + 8 D^2 / 3 S [m]
전선의 평균 높이: h = H - 2/3 D [m]
W: 전선 1m 당 무게 [kg/m]
S: 철탑과 철탑 간의 경간 [m]
T: 전선의 수평 장력 (인장 하중) [kg]
k: 안전율
2. 전선의 하중
1) 빙설 하중 (Wi : 수직 하중, 저온계에서만 적용) : 전선 표면에 겨울철 빙설이 부착된 상태의 하중이다.
2)풍압 하중 (Ww: 수평 하중) : 전선에 부는 바람에 의해 전선에 수평으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철탑 설계 시 가장 중요한 하중이다.
3) 합성 하중 (W: 총 하중)
a. 고온계 (Wi = 0) : W = √ (We^2 + Ww^2)
b. 저온계 (Wi: 고려): W = √ ((We+Wi)^2 + Ww^2)
3. 전선의 도약에 의한 상간 단락 방지
1) 겨울철 온도가 내려가면 눈은 전선에 부착되어 빙설이 되어버린다. 이 빙설은 수직 하중으로 작용하므로 각 상의 전선들은 밑으로 쳐지게 된다.
2) 전선 주변의 온도가 올라가면 부착되어 있던 빙설이 갑자기 전선에서 탈락하면서 그 반동력으로 전선은 위로 튀어올라 다른 상의 전선과 상간 단락 사고를 일으킨다.
3) 철탑의 오프셋 (off-set)
전선의 도약으로 부터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철탑의 암의 길이를 다르게 설치하여 전선 도약시 선간 단락 사고를 방지한다.
'전기 > 2. 전력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1. 송전 선로 해석 (0) | 2024.02.09 |
---|---|
2. 전력 공학 > 2. 지중 전선로 > 1. 지중 전선로 (1) | 2024.02.08 |
2. 전력 공학 > 1. 가공 전선로 > 3. 애자 insulator (1) | 2024.02.06 |
2. 전력 공학 > 1. 가공 전선로 > 2. 송전용 지지물 (철탑) (0) | 2024.02.05 |
2. 전력 공학 > 1. 가공 전선로 > 1. 송전용 전선 (0)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