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2. 전력 공학

2. 전력 공학 > 2. 지중 전선로 > 1. 지중 전선로

kkedory 2024. 2. 8. 20:19
728x90

2. 전력 공학 > 2. 지중 전선로 > 1. 지중 전선로

 

 

1. 지중 전선로

 

 

1) 지중 전선로가 필요한 곳 : 지중 전선로는 가공 전선로와는 달리 땅 밑에 매설되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합하다. 

 

a. 외부 기후에 의해 사고 빈도가 높아서 공급 신뢰도가 중요한 구간

 

b. 대도시를 경유하여 특히 미관이 미려한 것이 요구되는 구간

 

c. 부하 밀도가 높아서 송전 욜ㅇ양이 크게 요구되는 구간

 

d. 보안상의 문제로 가공 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구간

 

 

2) 지중 전선로의 특징

 

a. 외부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전력 공급 신뢰도가 높다

 

b. 전선로의 경과지 확보가 가공 전선로에 비해 용이하다.

 

c. 다회선 설치가 가공 전선로에 비해 용이하다.

 

d. 고장 발생시 고장 위치 및 고장 복구가 어렵다.

 

e. 송전 용량은 가공 전선로에 비해 작다.

 

 

2. 지중 전선로용 케이블

 

1) 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 (CV Cable)

 

a. 기존의 유입 케이블의 절연유가 누출되는 단점을 보완한 케이블로서 폴리에틸렌의 내열성을 높인 케이블이다.

 

b.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손실

 

도체손(저항손): Pe = I^2 R [W]

 

유전체손: Pd = 2  π  f C E^2 tan δ [W]   ( tan δ : 유전 정접)

 

연피손 (시스손)

 

 

3. 지중 케이블 가설 방법 및 고장점 측정법

 

1) 직접 매설식

 

a. 지하에 트로후를 묻고 그 안에 케이블 포설 후 모래를 채우는 방식이다.

 

b. 케이블 매설 깊이

-중량의 하중이 없는 장소: 0.6m

-중량의 하중이 있는 장소: 1.2m

 

c. 특징

-공사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다.

-케이블이 손상되기 쉽다

-사고시 수리가 어렵다.

-재시공이나 증설이 곤란하다.

-케이블 포설 가닥수에 한계가 있다.

 

2) 관로 인입식

 

a. 적당한 간격마다 맨홀을 만들고 그 사이에 관로 설치후 케이블을 끌어 넣는 방식이다.

 

b. 특징

-케이블 손상이 적다.

-케이블의 재시공이나 증설이 쉽다.

-고장점 탐지가 쉽고 고장시 일부 구간의 케이블 교체가 쉽다.

-직매식에 비해 건설비가 증가한다.

 

3) 전력구식 (암거식)

 

a. 지하에 완전히 넓은 지하 터널(전력구)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후 행거 위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식

b. 특징

-케이블 손상이 적다

-관로식보다 전류 용량이 크다

-고장시 케이블 교체가 용이하다.

-다량의 케이블 포설에 휴효하다.

-공사비가 가장 비싸다.

 

4) 케이블 고장점 측정 방법

 

a. 머레이 루프법

b. 수색 코일법

c. 펄스 레이다법

d. 정전 용량 브리지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