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6. 직류 송전 (HVDC)
1. 직류 송전의 정의
-발전소에서 발전된 교류 전력을 바로 송전하지 않고 우선 정류기로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켜 송전한 후 이를 다시 교류로 역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송전 방식이다.
2. 직류 송전의 장점
-전력 손실이 적다
-주파수가 서로 다른 계통간 연계가 가능하다.
-코로나 손실이 적고 충전 전류의 영향이 없다.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계통 안정도가 높다
-전선의 표피 효과나 근접효과 영향이 없으므로 저항 증대가 없다.
-전력 기기의 절연을 교류 방식보다 낮게할 수 있다. (교류의 1/ √2 정도)
3. 직류 송전의 단점
-전압의 승압과 강압이 곤란하다.
-변환 장치(컨버터, 인버터) 설치 비용이 높다.
-교류 방식보다 고장 전류 차단이 어렵다.
-변환 장치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고조파를 제거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728x90
'전기 > 2. 전력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2. 충전 전류 및 충전 용량 (0) | 2024.02.16 |
---|---|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 1. 선로 정수 특성 (0) | 2024.02.14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5. 계통 연계 (0) | 2024.02.13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4. 송전 용량 (1) | 2024.02.12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3. 조상 설비 (0)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