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 1. 선로 정수 특성
1. 선로 정수의 의미
송전 선로가 건설되면 자연적으로 발생하면서 존재하는 저항 R, 인덕턴스 L, 정전 용량 C, 누설 콘덕턴스 G의 정수를 말한다.
2. 선로 정수의 계산
1) 저항 R [ Ω ]
-실제 전선에서의 저항값: R = ρ ㅣ / S = 1/58 * 100/%C * l / S [ Ω ]
-전선의 종류에 따른 % 도전율 값
연동선: % C = 100
경동선: % C = 97
ACSR 전선: % C = 61
2) 인덕턴스 L [H]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인덕턴스가 전선에서 하나의 선로 정수로서 존재하게 된다.
3) 상호 정전 용량 C [F]
전선과 전선 간에는 적당한 간격과 단면적이 있으며 그 전선 사이에는 공기의 유전율이 있으므로 이에 상당하는 전선 간의 상호 정전 용량이 존재하게 된다.
인덕턴스: L = 0.05 + 0.4605 log 10 D / r [mH /km]
정전용량: C = 0.02413 / log 10 D/r [mF /km]
D: 전선 간의 이격 거리 [m]
r: 사용한 전선의 반지름 [m]
3. 등가 선간 거리 (De)
1) 3상 선로에서 실제 전선과 전선 간의 이격 거리가 서로 각기 달라 정 3각형 배열로 등가 변환하여 선간 거리를 동일하게 환산한 거리를 말한다.
2) 등가 선간 거리 공식
등가 선간 거리 : De = ∛ D1 * D2 * D3 [m]
3 제곱근의 전선간 이격 거리가 3개임을 의미함
4. 복도체 (다도체)
1) 복도체 (다도체)의 정의
-단도체: 1상의 전선이 도체 1개로 이루어진 도체
-복도체: 단도체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2가닥으로 이루어진 전선
-다도체: 단도체의 개수가 3가닥 이상인 전선
2) 용도: 코로나 방지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3) 전압별 사용 도체 형식
-154kV 용: 복도체
-345kV 용: 4도체
-765kV 용: 6도체
4) 스페이서의 역할
복도체에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한 소도체 간 충돌 방지용
5) 복도체(다도체)의 등가 반지름 구하는 식
등가 반경: Re = ⁿ√ r * S ^ n-1 [m]
n은 소도체의 개수
5. 다도체에서의 인덕턴스 및 정전 용량 계산식
1) 다도체의 인덕턴스 및 정전 용량
인덕턴스: Ln = 0.05 / n + 0.4605 log 10 D / ⁿ√ r * S ^ n-1 [mH /km]
정전용량: Cn = 0.02413 / log 10 D / ⁿ√ r * S ^ n-1 [mF /km]
n: 다도체를 구성하는 소도체의 개수 (복도체 n=2, 4도체 n= 4, 6도체 n=6)
2) 복도체(다도체) 사용 시 특징
-인덕턴스 L은 단도체에 비하여 감소한다.
-정전용량C는 단도체에 비하여 증가한다.
-전선이 단도체에 비하여 굵어지므로 코로나 발생 임계 전압이 높아져 코로나가 방지된다.
-인덕턴스 감소에 따른 리액턴스 감소 (X = 2 π f L) 로 송전 용량이 증가한다.
송전용량: P = ( Vs Vr / X) sin θ
'전기 > 2. 전력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3. 코로나 (0) | 2024.02.17 |
---|---|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2. 충전 전류 및 충전 용량 (0) | 2024.02.16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6. 직류 송전 (HVDC) (1) | 2024.02.14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5. 계통 연계 (0) | 2024.02.13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4. 송전 용량 (1)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