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2. 충전 전류 및 충전 용량
1. 작용 정전 용량 C [F]
1) 전선과 전선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정전 용량 Cm과 각 상의 전선과 대지 사이에 존재하는 대지 정전 용량 Cs를 모두 합친 전선의 전체 정전 용량을 말한다.
2) 선로의 작용 정전 용량식
-단상 2선식 C = Cs + 2 Cm [F]
-3상 3선식 C = Cs + 3 Cm [F]
2. 전선로 1선당 충전 전류 Ic [A]
선로의 정전 용량에 전류가 흐르면 전류는 다음과 같은 진상 전류로서 선로에 충전하여 흐르게 된다. (3상 3선식의 경우)
Ic = wCE = w( Cs + 3Cm) E = w ( Cs + 3 Cm ) V / √3 [A]
E: 상전압 [V], V: 선간 전압 [V]
3. 3상 송전 선로에 충전되는 충전 용량 Qc [VA]
선로의 정전 용량에 충전 전류가 흐르게 되면 3상 송전 선로에는 다음과 같은 값으로 충전 용량이 발생하게 된다.
Qc = 3w C E^2 = 3 w C ( V / √3 ) ^2 = w C V^2 [VA]
Qc = 3w (Cs + 3Cm) E^2 = w (Cs + 3Cm) V^2 [VA]
E: 상전압 [V], V: 선간 전압 [V]
4. 송전 선로의 작용 정전 용량을 산출해야 하는 이유
1) 선로가 가설되면 그 선로에서 발생하는 작용 정전 C이 정확히 얼마인지를 알아야 그 선로에 흐르는 충전 전류(Ic)를 알 수 있다.
2) 이렇게 구한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3상 송전 선로 전체에 충전되는 충전 용량 Qc [kVA]을 구할 수 있다.
3) 보통 장거리 송전 선로에서 페란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분로 리액터 (Sh.R) 용량을 알 수 있게 된다.
'전기 > 2. 전력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력 공학 > 5.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 장해>1. 중성점 접지 방식 (0) | 2024.02.17 |
---|---|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3. 코로나 (0) | 2024.02.17 |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 1. 선로 정수 특성 (0) | 2024.02.14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6. 직류 송전 (HVDC) (1) | 2024.02.14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5. 계통 연계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