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3. 코로나
1. 코로나 현상의 정의
송전 선로에 일정 이상의 계통 전압이 가해졌을 때 선로 주변의 공기가 절연 파괴되어서 방전하게 되는 현상
2. 파열 극한 전위 경도 (E [kV / cm])
1) 의미: 전선 표면에서 1 [cm] 간격에서 공기의 절연이 파괴되기 시작하는 전압이다.
2) 직류: 30 [kV/cm]
3) 교류: 30 / √2 [kV/cm] = 21 [kV/cm] (실효값)
3. 코로나 임계 전압 ( E0 [kV] )
코로나 임계 전압은 코로나가 방전을 시작하는 개시 전압을 말한다.
E0 = 24.3 m0 m1 δ d log10 D/r [kV]
m0: 전선의 표면 계수 (매끈한 전선 =1, 거친전선 =0.8)
m1: 날씨 계수 (맑은날 = 1, 비/눈/안개 등 악천우시 = 0.8)
δ: 상대 공기 밀도
4. 코로나 방전에 의한 영향
1) 코로나 전력 손실 발생
P = 241 / δ ( f + 25 ) * √ d/2D * (E - E0)^2 * 10^-5 [kW/km]
2) 고조파 발생
3) 코로나 전파 장해로 유도 현상 발생
4) 소호 리액터 접지의 소호 능력의 저하
5) 전선 부식으로 전선 수명 단축
코로나 방전 시 오존 O3가 발생하여 공기의 수분과 결합하여 초산으로 되어 이것이 전선을 부식시킨다.
5. 코로나 방지 대책
1) 굵은 전선 및 복도체 사용
2) 전선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 및 관리
3) 가선 금구의 개선
전선의 선간 거리를 중대하는 방법은 로그 함수의 성질에 의해 효과가 적으므로 주의해야 함.
'전기 > 2. 전력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력 공학 > 5.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 장해>2. 중성점 잔류 전압 (0) | 2024.02.19 |
---|---|
2. 전력 공학 > 5.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 장해>1. 중성점 접지 방식 (0) | 2024.02.17 |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2. 충전 전류 및 충전 용량 (0) | 2024.02.16 |
2. 전력 공학 > 4. 선로 정수 특성 및 코로나 현상 > 1. 선로 정수 특성 (0) | 2024.02.14 |
2. 전력 공학 > 3. 송전 특성 > 6. 직류 송전 (HVDC) (1) | 2024.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