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로 기본 소자의 특성
1.1 저항 회로 R [옴]
1) 전류
i = v / R = ( Vm / R ) sin wt
위상: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같다 (동상 소자)
1.2 인덕턴스 회로 L [H]
1) 리액턴스
Z' = jwL [옴] = jXL [옴] = XL 각 90도 [옴]
XL: 유도성 리액턴스
2) 전류
i = v / X = ( Vm sin wt ) / XL 각 90도 = ( Vm / XL ) sin (wt - 90도)
3) 위상: 회로의 인가 전압에 비해 전류의 위상이 90도 늦다. (지상 소자)
1.3 커패시턴스 (정전용량) 회로 C [F]
1) 리액턴스
Z' = 1 / jwC [옴] = - jXC [옴] = XC 각 -90도 [옴]
XC: 용량성 리액턴스
2) 전류
i = v / X = ( Vm sin wt ) / XC 각 -90도 = ( Vm / XC ) sin (wt + 90도)
3) 위상: 회로의 인가 전압에 비해 전류의 위상이 90도 빠르다. (진상 소자)
2. 직렬 회로
2.1 저항과 인덕턴스의 직렬 회로
1) 임피던스
Z' = R + jwL [옴] = |Z| 각 θ [옴]
크기 : |Z| = root ( R^2 + XL^2 )
위상: θ = tan ^-1 (XL / R)
2) 전류
i = v / Z = ( Vm sin wt ) / |Z| 각 θ = ( Vm / |Z| ) sin (wt - θ )
위상: 회로의 인가 전압에 비해 전류의 위상이 θ 만큼 늦다. (지상 회로)
2.2 저항과 커패시턴스의 직렬 회로
1) 임피던스
Z' = R - 1/ jwC [옴] = |Z| 각 -θ [옴]
크기 : |Z| = root ( R^2 + XC^2 )
위상: θ = tan ^-1 (-XC / R)
2) 전류
i = v / Z = ( Vm sin wt ) / |Z| 각 -θ = ( Vm / |Z| ) sin (wt + θ )
위상: 회로의 인가 전압에 비해 전류의 위상이 θ 만큼 빠르다. (진상 회로)
2.3 저항과 인덕턴스 그리고 커패시턴스의 직렬 회로
1) 임피던스
Z' = R + jwL - 1/ jwC [옴] = R + j(wL -1/wC) [옴] = |Z| 각 +-θ [옴]
크기 : |Z| = root ( R^2 + X^2 ) , X = XL -XC [옴]
위상: θ = tan ^-1 (X / R) , XL > XC 인 경우 + θ , XL < XC 인 경우 -θ
2) 전류
i = v / Z = ( Vm sin wt ) / |Z| 각 +-θ = ( Vm / |Z| ) sin (wt -+ θ )
위상: 회로의 인가 전압에 비해 전류의 위상이 θ 만큼 빠르다. (진상 회로)
3. 병렬 회로
3.1 저항과 인덕턴스의 병렬 회로
1) 어드미턴스
Y' = 1/R + 1/jwL [옴] = |Y| 각 -θ [모]
크기 : |Y| = root ( (1/R)^2 + (1/XL)^2 )
위상: θ = tan ^-1 (R / XL)
2) 전류
i = v Y = ( Vm |Y| ) sin (wt - θ )
위상: 회로의 인가 전압에 비해 전류의 위상이 θ 만큼 늦다. (지상 회로)
3.2 저항과 커패시턴스의 직렬 회로
1) 어드미턴스
Y' = 1/R + 1/ jwC [옴] = |Y| 각 θ [옴]
크기 : |Y| = root ( (1/R)^2 + (1/XC)^2 )
위상: θ = tan ^-1 (R/XC)
2) 전류
i = v Y = ( Vm |Y| ) sin (wt + θ )
위상: 회로의 인가 전압에 비해 전류의 위상이 θ 만큼 빠르다. (진상 회로)
4. R-X의 직렬 및 병렬 회로에서의 역률 및 무효율
4.1 저항과 리액턴스의 직렬 회로
1) 역률
cos θ = R / |Z| = R / root (R^2 + X^2)
2) 무효율
sin θ = |Z| / X = X / root (R^2 + X^2)
4.2 저항과 리액턴스의 병렬 회로
1) 역률
cos θ = 1/R / |Y| = 1/R / root ((1/R)^2 + (1/X)^2) = X / root (R^2 + X^2)
2) 무효율
sin θ = 1/X / |Y| = 1/X / root ((1/R)^2 + (1/X)^2) = R / root (R^2 + X^2)
5. RLC 직렬 및 병렬 회로에서의 공진 현상
5.1 R-L-C 직렬 회로
1) 공진조건
유도성 리액턴스 (XL) 과 용량성 링개턴스 (XC)가 같아지는 조건
XL = XC -> wL = 1/wC
공지 조건이 성립되면 유도성(지상) 특성과 용량성(진상) 특성이 서로 사왜되어 결국 회로에 작용하는 성질은 저항 특성 밖에 없게 된다.
2) 공진 주파수
공진이 발생할 때의 주파수로서 위의 공진에서
wL = 1/wC -> 2pifL = 1/2pifC -> f = 1/ (2 pi root (LC) ) [Hz]
3) 공진 전류
RLC 직렬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i = v / |Z| = Vm sin wt / root ( R^2 + X^2) [A]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i0 = v / R = Vm sin wt / R [A]
이므로 |Z| > R의 관계에 의하여 공진 시 회로의 전류는 최대로 증대된다.
4) 전압 확대비 (선택도, 첨예도)
Q = VL / V = VC/V = (1/R) root (L/C) [배]
5.2 R-L-C 병렬 회로
1) 공진조건
유도성 리액턴스 (XL) 과 용량성 링개턴스 (XC)가 같아지는 조건
XL = XC -> wL = 1/wC
공지 조건이 성립되면 유도성(지상) 특성과 용량성(진상) 특성이 서로 사왜되어 결국 회로에 작용하는 성질은 저항 특성 밖에 없게 된다.
2) 공진 주파수
공진이 발생할 때의 주파수로서 위의 공진에서
wL = 1/wC -> 2pifL = 1/2pifC -> f = 1/ (2 pi root (LC) ) [Hz]
3) 공진 전류
RLC 병렬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i = v Y = (R + j(wL - 1/wC)) Vm sin wt [A]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i0 = v Y = (1/ R) sin wt [A]
이므로 |Y| > 1/R의 관계에 의하여 공진 시 회로의 전류는 최소로 감소된다.
4) 전류 확대비 (선택도, 첨예도)
Q = IL / I = IC/I = R root (C/L) [배]
'전기 > 5. 회로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회로 이론 > 6. 교류 전력 (0) | 2024.05.03 |
---|---|
5. 회로 이론 > 5. 회로망 해석 기법 (0) | 2024.05.02 |
5.회로이론>4.유도 결합 회로 (0) | 2024.05.01 |
5. 회로이론 > 2. 교류 전기 (0) | 2024.04.28 |
5. 회로 이론 > 1. 기초 회로 법칙 (0)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