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라플라스 변환과 필요성
1) 제어 장치는 시간 함수 f(t)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제어 장치가 받아들일 수 있는 주파수 함수 f(jw) = F(S)로 변환하여야 한다.
2) 라플라스 변환 공식을 사용하여 시간함수를 주파수 함수로 바꾼다.
F(S) = ∫0 ∞ f(t) e^-st dt
2. 자주 쓰이는 라플라스 기본 변환 공식
라플라스 변환 공식을 이용하여 시간함수를 주파수 함수로 바꾸면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시간 함수 f(t) | 주파수 함수 F(S) |
임펄스 함수 δ (t) | 1 |
단위 계단 함수 u(t) = 1 | 1/s |
속도 함수 t | 1/s^2 |
가속도 함수 t^2 | 2! / s^3 |
지수 함수 e^at | 1 / (s - a) |
지수 함수 e^-at | 1 / (s + a) |
삼각 함수 sin wt | w / (s^2 + w^2) |
삼각 함수 cos wt | s / (s^2 + w^2) |
728x90
'전기 > 4. 제어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제어 공학 > 2. 전달 함수 > 3. 블록선도 및 신호흐름선도에서의 전달 함수 (0) | 2024.04.16 |
---|---|
4. 제어 공학 > 2. 전달 함수 > 2. 회로망에서의 전달 함수 (0) | 2024.04.15 |
4. 제어 공학 > 2. 전달 함수 > 1. 제어 시스템에서의 전달 함수 (0) | 2024.04.14 |
4. 제어 공학 > 1. 라플라스 변환 > 3. 라플라스 역변환 (0) | 2024.04.14 |
4. 제어 공학 > 1. 라플라스 변환 > 2. 라플라스 변환의 기본 정리 (0) | 2024.04.13 |